WEEKLY NEWS 20
찔끔' 유가보조금 효과 없어…물류업계, 안전운임제 확대 안되면 총파업
고유가 대란이 심화하면서 물류업계가 총파업을 선언할 판국에 놓였다. 정부가 유가연동 보조금 확대를 당근으로 꺼냈지만 해결책이 아니라며 반발이 커지는 분위기다.
화물연대는 이달 중에 총파업을 결의하고 조만간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새 정부를 상대로 유가 등 원가 상승을 반영할 수 있는 안전운임제 확대를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불거진 물류대란에 총파업이 더해지며 건설업계 등이 직격탄을 맞은 데 이어 올해도 산업 전반에 피해가 우려된다.
19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는 오는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을 예고키로 방침을 정했다.
구체적인 총파업 일정은 오는 28일 열릴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작년 11월 파업에 들어갈 때부터 예고한 2차 파업 일정이 23일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조만간 실행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경찰청,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와 모니터링하며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물연대가 파업을 추진하는 것은 올해로 일몰이 예정된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기 위해서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주의 적정 운임을 보장해 근로 여건을 개선하고 과로·과속·과적 운행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됐다. 원가 요인을 운임에 반영하는 게 핵심이지만 화주단체 등의 반발로 수출입 컨테이너, 시멘트 품목에 한해 2020년부터 3년 일몰제로 시행 중이다.
특히 최근 유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안전운임제 확대 목소리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안전운임제가 도입된 컨테이너, 시멘트 품목은 3개월마다 유가 상승분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반면 대부분의 화물차주들은 고유가 부담을 온전히 떠안을 수밖에 없어서다. 안전운임제 적용 화물차는 전체의 5% 안팎이어서 대부분의 차주들이 유가 상승 직격탄을 맞았다.
다만 총파업 여부를 놓고 화물연대 내에서도 입장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파업이 시행될 경우 윤석열 정부 들어 첫 대규모 파업이라는 점에서 갈등이 커질 수 있어서다.
한 물류업계 관계자는 "화물연대 집행부는 신중하게 대응하자는 분위기인 반면 집행부의 반대파가 파업을 밀어붙이는 분위기"라며
"불법파업이라는 딱지가 붙을 경우 집행부에 타격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정권 초기에 발생하는 파업은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한다는 기조가 있었다"면서도
"정확한 파업 일정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일단은 진행하는 상황으로 안다"고 말했다. 반면 화물연대 측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 https://m.newspim.com/news/view/20220518000891
中 봉쇄 종료발 "물류대란 쓰나미 온다" …수출기업 '발동동'
50일이 넘도록 도시를 봉쇄한 중국 상하이시가 내달 1일을 목표로 봉쇄 종료 카운트다운에 돌입하자 수출업계에는 전운이 감돈다.
중국의 봉쇄 조치로 물동량이 줄었음에도 국내 수출 기업의 물류비용 부담은 더 커진 상황에서 봉쇄 종료 후 글로벌 물류대란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특히 2분기가 물동량이 증가하는 성수기라는 점에서 지난 2020년 하반기 이후 중국에서 발생한 물류 대란이 재현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코로나19 재확산이 없다면 내달 1일부터 봉쇄를 전면 해제한다는 방침이다.
쭝밍 상하이 부시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방역 통제가 단계적으로 효과를 거두며 신규 감염자가 급감했다”고 설명한 뒤 “3단계 방역 관리를 통해 완전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시장에서는 상하이 봉쇄가 완화 혹은 해제되면 해운 운임이 상승 전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연히 수출기업들의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분위기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계자는 “상하이시 봉쇄 해제 이후 창고에 쌓여 있던 물량이 한꺼번에 풀릴 경우 지난해 코로나19 완화 이후 수요 폭증으로 글로벌 병목 현상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글로벌 해운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 1월 고점을 찍은 뒤, 17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지난 13일 기준 SCFI는 전주 대비 15.91포인트 내린 4147.83을 기록했다. 지난해 7월 말(4196.24) 이후 9개월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이는 상하이 도시 봉쇄로 인한 물동량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국내 수출 기업의 물류비용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최근 관세청이 발표한 ‘4월 수출입 컨테이너 운임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에서 미국 동부로 가는 수출 컨테이너의 2TEU(40피트 표준 컨테이너 1대)당 평균 신고운임은 1626만7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무려 ‘236.9%’ 폭등했다.미국 서부향은 140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6.2% 뛰었고, 유럽연합(EU)향도 1334만9000원으로 200.1% 치솟았다.
물동량이 감소한 중국향 수출 물류의 해상 운임은 126만7000원으로, 한 달 전보다 약 10%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해상 컨테이너 운임이 1년 전에 비해 폭등세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상하이 봉쇄 해제 이후 공장 재개로 물동량이 갑자기 쏟아지며 운임 상승세를 더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국내 수출기업에 전가될 것이라는 부분이다. 글로벌 물류대란이 지속되면서 이미 국내 온라인 수출기업의 대다수는 물류 관련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지난달 20∼29일 ‘물류이용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 대상 기업 716곳 가운데 89.1%는 현재 물류 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주요한 문제로 ‘항공·해상운임 등 높은 물류비용’(81.7%·복수응답)과 ‘배송 기간’(45%) 등을 꼽았다.업계 관계자는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 가운데 해상 운임마저 급등해 수출 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국제 정세 불안으로 국제 유가가 폭등하는 상황에서 상하이 봉쇄 이후 물류대란 쓰나미까지 몰려오면서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 https://m.asiatime.co.kr/article/20220518500117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 항구 혼잡 '50년만에 최악'
항구 혼잡은 북미, 아시아, 유럽 및 중동 등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세계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 상황은 2023년 상반기까지 개선되기 힘들 것이며, 이는 공급망 불확실성이 더 커지는 시점에 자동차 산업에 영향을 미칠것이라 예상했다.
최근 열린 자동차 물류 및 공급망 유럽 컨퍼런스에서 필립 다마스 드류리 해운 컨선턴트 전무 이사는 "지난 1년 동안 세계적으로 개선은 없었으며
2023년 상반기까지 항구 혼잡의 완화 및 해결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우리가 검토해야 할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미국 간 컨테이너 선적 현황에 초점을 맞춰 하역 평균 운송 시간의 엄청난 변동성으로 인해 공급망 업자들에게 골칫거리인 암울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산업이 취할 수있는 비상 조치가 있다"며 "부품 및 자재 소싱의 다각화, 대체 항구 및 해상 운송 서비스 제공 업체, 다양한 운송 경로, 현물 운임 및 주간 혼잡 지표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포함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해결책은 수요의 둔화와 운송업자의 추가 선박 용량 보다 규율적인 배치에 달려 있다"며 "연료 가격, 경기침체,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관세청이 16일 발표한 '4월 수출입 컨테이너 운임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미국 동부로 가는 수출 컨테이너 2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당
평균 신고운임은 1626만 7000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전월 대비 5.6% 상승했다. 1년전(484만1000원)과 비교해 236.0% 올랐다.
•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2051910591820323fee441970_1&md=20220519145818_S
자세한 뉴스가 궁금하다면 링크를 확인해주세요.